OAK

BMI와 체성분분석에 의한 지방량 및 근육량의 만성질환 예측지표로서 유용성 비교 (부제: 국가검진에서 체성분분석 검사 도입의 타당성 조사)

Metadata Downloads
저자
서정훈김동현박해용이승신정지윤
키워드 (국문)
체질량지수체성분분석만성질환예측지표
키워드 (영문)
BMIbody composition analysischronic diseaseprediction indicator
발행연도
2016-12-30
발행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유형
Report
목차
요 약 3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5
제2절 연구 목적 18

제2장 연구 내용 및 방법 19
제1절 연구 대상 21
제2절 연구 자료 22
제3절 연구의 틀 27

제3장 비만의 의학적 정의와 특징 29
제1절 비만의 정의 31
제2절 비만의 동반질환 35

제4장 비만관련 질환과 비만지수의 연관성 43
제1절 대상자의 특성 및 비만관련 질환의 유병률 45
제2절 비만지수에 따른 비만관련 질환의 위험도 비교 53
제3절 체질량지수와 체성분분석의 상관관계 56
제4절 비만관련 질환의 예측인자로서 비만지수의 유용성 비교 57

제5장 체질량지수와 체성분분석의 조합으로 계층화된 군에서 대사증후군의 위험도 63
제1절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에 의한 계층화 65
제2절 체질량지수와 내장지방면적에 의한 계층화 69

제6장 복부지방CT와 체성분분석에 의한 내장지방면적 비교 73
제1절 내장지방면적 비교 대상자의 특성 75
제2절 체성분분석에 의한 내장지방면적과 다른 복부비만 측정법의 연관성 77
제3절 성별,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른 내장지방면적의 차이 78

제7장 기타 비만관련 질환과 비만지수와의 연관성 81
제1절 경동맥경화반 83
제2절 관상동맥협착 87
제3절 담낭담석 91
제4절 지방간 96

제8장 결론 및 고찰 101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03
제2절 결론 및 고찰 106
제3절 제 언 107
제4절 연구의 제한점 108

참고문헌 111
자료발행국가
한국
보고서 번호
2016-20-010
ISBN
979-11-93529-43-0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