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후방십자인대 파열에 대한 재건술의 현황과 보장성 정책 및 비용 분석

Metadata Downloads
저자
박상훈
키워드 (국문)
슬관절후방십자인대빅데이터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키워드 (영문)
kneeposterior cruciate ligamentbig data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발행연도
2025-03-14
발행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유형
Report
초록
후방십자인대 손상과 관련하여 수술의 필요성, 현재 치료 경과 및 현황, 수술로 재건술을 받게 될 경우 인대 종류(자가건 및 타가건)에 따른 차이 분석, 성별, 경제적 수준 등 여러 가지 위험인자에 대한 연관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청구자료를 이용하였다. 2003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후방십자인대파열을 전체 상병에서 청구한 사람 182,811명의 정보를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52,787례의 환자 중 18,424례에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이 시행되었고, 전체 손상 환자 중 12.1%였다. 수술을 시행받은 군에서 연골절제술, 근위경골 절골술의 위험도는 증가하였으나,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을 받게 될 위험도가 감소하였다. 손상 당시 나이가 많고, 여성의 경우 추가적인 수술을 받게 될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수술 후 추가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수술의 비용에 있어서는 자가건, 타가건의 경우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대기 시간의 단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후방십자인대 손상과 관련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토대로 현재 국내현황과, 여러 위험도에 따른 표준화된 임상진료지침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슬관절 후방십자인대 파열 9
제2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1
제3절 연구의 목적 12
제2장 연구 내용 및 분석 방법 15
제1절 대상자 선정 17
제2절 관심 질환 20
제3장 연구 내용 및 결과 23
제1절 사회경제학적 요인에 따른 위험도 결과 25
제2절 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위험도 결과 29
제3절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에서 위험도 결과 34
제4장 연구 내용 및 분석 39
제1절 사회경제학적 요인에 따른 위험도 결과 41
제2절 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위험도 결과 43
제3절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에서 위험도 결과 47
제5장 분석 및 토의 51
제1절 타기관 연구 53
제2절 본 연구의 의의 54
제3절 본 연구의 한계점 55
제6장 결론 및 제언 57
제1절 결론 59
제2절 제언 60
참고문헌 61
자료발행국가
한국
보고서 번호
NHIMC-2024-PR-010
ISBN
979-11-93542-82-8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