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외과 DRG 및 중증도 분류 정확도 평가 개선 연구 : 충수절제술, 담낭절제술, 탈장 수술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저자
허호이우리
키워드 (국문)
진단명기준 환자군충수절제술담낭절제술탈장 수술투석심부전
키워드 (영문)
Diagnostic-related groupsAppendectomyCholecystectomyHerniorrhaphydialysisHeart Failure
발행연도
2025-03-14
발행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유형
Report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환자 분류는 중증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환자 분류가 보다 중증도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상 2019–2022년 사이 충수절제술, 담낭절제술, 탈장을 받은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혈전제 사용, 투석 치료, 심부전 유병 및 RDRG에 따른 중환자실 입원율(1개월 이내와 1년 이내), 사망률(1개월 이내와 1년 이내), 재원 일수와 총 의료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충수절제술, 담낭절제술, 탈장 수술 환자에서 상급종합병원은 중등도 및 중증 환자 비율이 높고, 혈전용해제 사용, 투석 치료, 심부전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수술 후 예후를 살펴보면, 모든 수술에서 중증도가 높을수록 1개월 내 중환자실 입원률과 사망률이 상승했으며, 1년 내 입원 및 사망 위험도도 중증도와 함께 혈전용해제, 투석, 심부전 여부에 따라 증가하였다. 재원일수와 의료비는 중증도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했으며, 특히 중증 환자의 평균 재원일수와 의료비가 가장 높았다.
결론
중증도가 높은 환자는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 사망률, 재원일수, 총 의료비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특히 충수절제술과 탈장 수술에서는 RDRG의 중증도 차이에 따른 예후 차이가 두드러지게 보였다. 이는 상급종합병원 지정 시 ADRG가 아닌 RDRG를 활용하는 것이 중증도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있는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 약 3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9
제2절 연구 목적 11
제2장 문헌 고찰 13
제1절 입원환자분류체계 15
제2절 상급종합병원 16
제3절 연구대상 질환의 예후 18
제3장 연구 방법 21
제1절 연구 자료 및 대상자 23
제2절 연구 변수 24
제3절 통계적 분석 방법 28
제4장 연구 결과 29
제1절 치료기관별 환자 중증도 구성 차이 분석 31
제2절 중증도 구분에 따른 예후 차이 분석 43
제5장 고찰 103
제1절 결과 요약 및 고찰 105
제2절 연구 제한점 109
제3절 결론 및 제언 109
참고문헌 111
부록 115
자료발행국가
한국
보고서 번호
NHIMC-2024-PR-003
ISBN
979-11-93542-75-0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