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국내 면역저하환자에서 폐포자충 폐렴의 발생률 및 결과

Metadata Downloads
저자
최흔
키워드 (국문)
폐포자충 폐렴면역저하환자자가면역질환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키워드 (영문)
PJPimmunocompromised patientautoimmune diseaseHIV
발행연도
2025-03-14
발행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유형
Report
초록
폐포자충 폐렴(Pneumocystis Jirovecii Pneumonia, PJP)은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게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감염으로, 주로 면역억제제나 면역조절제를 사용하는 환자에게서 발생률이 높다. 본 연구는 국내 자가면역질환, HIV, 혈액종양, 장기이식 환자에서 폐포자충 폐렴 발생률과 사망률을 평가하고, 예방 요법의 효과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자가면역질환, HIV, 혈액종양, 장기이식 환자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환자군을 예방 요법 시행 여부에 따라 성향 점수 매칭하여 발병 및 사망률을 비교했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동반질환, 면역억제제 및 면역조절제 사용 여부를 독립 변수로 하여 생존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가면역질환 환자에서 폐포자충 폐렴의 발병률은 0.14%로 나타났고, HIV 환자 0.58%, 혈액종양 환자 0.52%, 장기이식 환자에서 0.65%였다, Corticosteroids, Calcineurin inhibitor 사용 시 발생 위험이 높았고. 예방 요법을 시행한 경우 모든 환자군에서 폐포자충 폐렴 발병 및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며 특히 장기이식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폐포자충 폐렴은 면역저하 환자에게서 높은 발생률과 치명률을 보이며, 면역억제제와 면역조절제의 사용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TMP-SMX를 사용한 예방 요법은 발병률과 사망률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연구 결과는 폐포자충 폐렴 예방 요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면역저하 환자에 대한 예방 지침 마련의 필요성을 권고한다.
목차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9
제2절 연구 목적 10
제2장 문헌 검토 11
제1절 폐포자충 폐렴의 역학 13
제2절 질환별 폐포자충 폐렴 예방요법의 효과 14
제3장 연구 대상 및 방법 17
제1절 연구 자료 및 대상 19
제2절 연구 변수 27
제3절 통계적 분석방법 29
제4장 연구 결과 31
제1절 자가면역질환 연구 결과 33
제2절 HIV 연구 결과 53
제3절 혈액종양 환자 연구 결과 65
제4절 장기이식 환자 연구 결과 80
제5장 고찰 및 결론 95
제1절 고찰 97
제2절 연구의 제한점 98
제3절 결론 99
참고문헌 101
자료발행국가
한국
보고서 번호
NHIMC-2023-PR-020
ISBN
979-11-93542-71-2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