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 대 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 성과 비교

Metadata Downloads
저자
김효현
키워드 (국문)
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관상동맥협착증주요 심장 및 뇌혈관계 부작용심근경색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키워드 (영문)
CABG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OD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MACCEmajor adverse cardiac and cerebrovascular eventMImyocardial infarctionOPCAB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STEMIST elevation MI
발행연도
2025-03-14
발행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유형
Report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치료법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으나, 심폐기하 관상동맥우회술과 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에 대한 임상적 성과에 대한 비교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성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인의 실정에 맞는 실제적인 두 치료법의 성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생애최초 허혈성 심질환을 진단받은 후 1년 이내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은 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또는 동반질환이나 도시규모, 보험료분위 정보를 활용하여 두 군간의 1:1 매칭을 수행하였고, 수술 후 심근경색 재진단, 재수술 또는 재시술, 뇌졸중, 사망 사건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매칭된 그룹간 비교에서 수술 후 혈관 재개통 시술 또는 재수술률에 대해 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 그룹과 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 그룹간에 통계적 치이는 없었다. 마찬가지로, 뇌졸중에 있어서도 두 그룹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심근경색재발률 및 사망 위험을 조사한 결과 무-심폐기 그룹이 수술 후 후기 사망률이 더 낮게 나타났고, 위 4가지 결과를 종합한 종말점인 주요 심장 및 뇌혈관계 부작용 또한 무-심폐기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에 비하여 무-심폐기 우회술은 초기 심근 손상을 예방하고 수술 후 1년 내 심근경색의 재발을 감소시켜 심장관련 사망률을 줄임으로써 장기적으로 유리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목차
요 약 3
제1장 연구 배경 및 목적 5
제1절 연구 배경 7
제2절 연구 목적 8
제2장 연구 대상 및 방법 9
제1절 연구 자료 및 대상 11
제2절 예후 변수 및 교란 변수 13
제3절 통계적 분석 방법 14
제3장 연구 결과 15
제1절 임상적 특성 17
제2절 장기 예후에 대한 비교 분석 22
제4장 토론 및 제언 29
제1절 토론 및 결론 31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33
참고문헌 35
부록 39
자료발행국가
한국
보고서 번호
NHIMC-2023-PR-024
ISBN
979-11-93542-72-9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