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신장이식 수술 후 Statin 투여가 신장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Metadata Downloads
저자
이형순
키워드 (국문)
신장 이식고지질혈증생존 분석이식 편 생존률당뇨
키워드 (영문)
Kidney transplantationHypercholesterolemiaSurvival AnalysisGraft SurvivalDiabetes MellitusNeopla는
발행연도
2025-03-14
발행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유형
Report
초록
고지질혈증은 이식 신 기능부전의 주요한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신장 이식 환자들은 고지질혈증을 잘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약제는 HMG CoA reductase inhibitor (Statin)이다. 하지만 신장 이식 수혜자에서 Statin 사용이 심혈관계 합병증 및 이식 예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장 이식 수술 후 Statin 투여가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률 및 신장 이식 후 장기적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려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정보 database에서 2006년부터 2022년까지 17년간 국내에서 시행된 것으로 급여 청구된 신장 이식을 시행 받은 수혜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1차 평가변수는 신장 이식 수술 후 Statin 사용과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MACE) 발생 및 위험 인자 분석이며, 2차 평가변수는 신장 이식 수술 후 statin 사용과 환자의 생존율, 이식 신 기능부전, 이식 후 당뇨, 이식 후 암 발생이다. 따라서 Statin 사용 기간에 따른 환자 상태의 변화를 고려하고 Immortal time bias를 줄이기 위해 랜드마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신장 이식 수혜자의 예후에 대한 위험요인은 Cox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각 요인의 위험비 및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장 이식 후 MACE의 발생은 신장 이식 후 180일 이내에 Statin 또는 Statin과 Ezetimibe 병용 투여군에서 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신장 이식 후 180일 이내에 Statin 또는 Statin과 Ezetimibe 병용 투여군에서 사망 발생의 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이식 후 당뇨의 발생은 신장 이식 후 180일 이내에 Statin 또는 Statin과 Ezetimibe 병용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위험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신장 이식 후 암 발생과 이식 신 기능 부전은 Statin 또는 Statin과 Ezetimibe 병용투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신장 이식 후 Statin 사용이 심혈관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지는 못하였지만, 신장 이식 후 180일 이내의 초기 단계에서의 Statin 사용이 환자의 장기 생존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선행 연구들과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신장 이식 후 Statin 단독 사용 및 Statin과 Ezetimibe 병용투여는 이식 후 당뇨 발생률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Statin의 사용 시에는 이식 후 당뇨 발생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추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환자의 상태에 맞춘 Statin 치료 계획과 장기적인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목차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9
제2절 연구 목적 12
제2장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1절 연구 대상 및 자료 15
제2절 분석 방법 18
제3장 연구 결과 19
제1절 대상자 특성 21
제2절 신장 이식 환자에서 Statin 사용과 예후 26
제3절 신장 이식 환자의 예후 관련 위험인자 분석 31
제4장 고찰 및 결론 41
제1절 고찰 43
제2절 한계 44
제3절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7
자료발행국가
한국
보고서 번호
NHIMC-2024-PR-012
ISBN
979-11-93542-84-2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