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황반부종 치료제 건강보험 적용 이후 당뇨황반부종의 치료 경향 및 비용 분석
- 저자
- 정은지
- 키워드 (국문)
- 당뇨황반부종; 발생률; 유병률; 급성 안내염; 시각장애인
- 키워드 (영문)
- diabetic retinopathy; incidence; prevalence; acute endophthalmitis; visually-disabled
- 발행연도
- 2025-03-14
- 발행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 유형
- Report
- 초록
- 본 연구에서 당뇨황반부종의 발생률 및 유병률 변화와 약제의 건강보험적용이 치료 경향에 미치는 영향과 각 치료제의 안전성 및 시력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급여 기준 주사 치료가 필요한 당뇨황반부종 환자의 연령표준화 연도별 발생률은 2017년 2형 당뇨병 유병 인구 10,000명 당 7.48에서 2019년 9.36으로 증가 추세였다 이 후 감소하여 2022년에는 7.67로 나타났다. 2022년 당뇨황반부종의 연령 표준화 유병률은 2017년 당뇨병 유병 인구 10,000명당 11.31에서 2022년 18.33으로 증가를 보였으며 관련 당뇨황반부종 주사 치료 관련 의료비용은 2017년 약 55억 원에서 2022년 약 139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신규 발생 당뇨황반부종의 치료제 처방 비율은 2022년 기준 아일리아, 루센티스, 오저덱스, 마카이드 순으로 각각 60.8%, 18.4%, 13.1%, 7.7% 비율로 처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황반부종 환자에서 안내 주사를 시행한 후 4주 이내 급성 안내염의 평균 발생률은 0.0559%였다. 당뇨병 환자에서 치료제의 급여화이후 시각장애인 증가폭이 감소하고 신규 시각장애등록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당뇨황반부종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관련 의료 비용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적절한 예산 확보 및 보건 정책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당뇨황반부종 치료제의 사용 이후 당뇨병 환자에서 시각장애등록 인구수 증가폭이 감소하고 신규 시각장애등록 비율의 감소가 가속화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지속적인 치료를 위해 당뇨황반부종 치료제의 급여 확대와 본인부담률 감소를 위한 정책적 결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목차
-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9
제2절 연구 목적 10
제2장 문헌 검토 11
제1절 당뇨황반부종 발생률 및 유병률 13
제2절 국내 당뇨망막병증 발생률 및 유병률 16
제3절 당뇨망막병증 치료와 의료비용 18
제3장 연구 대상 및 방법 19
제1절 연구 자료 및 대상 21
제2절 연구변수 27
제3절 통계적 분석방법 28
제4장 연구 결과 31
제1절 당뇨황반부종 발생률 및 유병률 33
제2절 당뇨황반부종 치료제별 치료 경향 및 비용 43
제3절 당뇨황반부종 치료제 주사 후 안내염 발생률 52
제4절 치료제 급여 적용 이후 당뇨병 환자에서 신규 시각장애 등록 비율 변화 54
제5장 고찰 및 결론 57
제1절 고찰 59
제2절 연구의 제한점 61
제3절 결론 62
참고문헌 63
- 자료발행국가
- 한국
- 보고서 번호
- NHIMC-2024-PR-002
- ISBN
- 979-11-93542-74-3
- 공개 및 라이선스
-
- 공개 구분공개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