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와 관련된 감염질환 관련 진단검사 항목의 평가법 개발과 개선 방안의 모색
- 저자
- 김영아
- 키워드 (국문)
- 요양급여; 적정성; 감염질환; 진단검사; 평가지표
- 키워드 (영문)
- Care benefit; Appropriateness; Infectious disease; Diagnostic test; Evaluation method
- 발행연도
- 2025-03-14
- 발행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 유형
- Report
- 초록
- 연구배경 및 목적
진단검사의학 검사는 질병 진단 및 치료 추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전과 같이 검사의 양을 확대하기 보다는 임상의들이 효율적으로 검사를 의뢰하고 검사 결과를 환자의 진료에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서는 적절한 검사에 대한 검사 지침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감염질환의 진단을 위해 처방하는 미생물 검사의 현황을 알아보고, 평가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맞춤형 자료를 이용하여 폐결핵, 폐렴, 패혈증, 요로감염, 및 연조직 감염의 주요 감염질환 환자에서의 미생물 검사 현황을 기간과 특성별로 알아보았다. 연구기간은 2020년에서 2022년으로 하였고, 중복과 복합감염은 제외하였다. 미생물 검사는 배양, 감수성 시험, 분자진단 검사, 및 직접검사를 분석하였다. 미생물 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 Charson Comorbidity Index(질병중증도), 감염 위험을 높이는 선행질환, 의료기관 형태 및 거주지역, 보험분위(경제적 상황), 및 장애 유무를 분석하였다. 기존 문헌을 검토를 통한 처방가이드라인과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평가지표를 제안하였다.
결론 및 요약
패혈증과 요로감염의 과소처방이 특히 우려되었고, 모든 감염질환에서 성별, 의료급여형태 및 지역별 검사량의 차이는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자료와 주요감염질환에서 검사지침을 참고하여, 빅데이터를 이용한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 목차
- 요 약 3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5
제1절 연구의 배경 7
제2절 연구의 필요성 13
제2장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1절 연구의 내용 17
제2절 연구의 방법 18
제3장 연구 결과 23
제1절 주요감염 질환에서의 미생물 검사 현황 25
제2절 미생물 검사 처방에 미치는 인자 49
제3절 미생물검사가 의료비용과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 65
제4장 결론 및 제안 93
제1절 결론 및 고찰 95
제2절 제안 97
참고문헌 99
- 자료발행국가
- 한국
- 보고서 번호
- NHIMC-2024-PR-004
- ISBN
- 979-11-93542-76-7
- 공개 및 라이선스
-
- 공개 구분공개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